조선 세종 원년, 1419년 황희 정승은 남원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광통루'를 지어 산수를 즐겼습니다.
황희 정승은 양녕대군의 폐출불가를 주장하다가 태종의 노여움을 사 남원에 유배되어 생활하였습니다.
세종 26년, 1444년 정인지 관찰사는 광통루의 아름다움에 탄복한 나머지 이 곳을 달나라 미인 항아가 사는 월궁 속의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라 하였으며 이 때부터 '광한루'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 : 하늘의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살던 궁전(宮殿). 줄여서 ‘광한(廣寒)’이라고도 한다.
달나라에 있다고 하여 ‘월궁(月宮)’ 또는 ‘월궁전(月宮殿)’이라고도 한다.
세조 7년, 1461년 장의국 부사는 요천의 맑은 물을 끌어와 은하수를 상징하는 연못을 만들고 칠월 칠석이면 견우와 직녀의 사연을 4개의 무지개 모양으로 오작교를 만들었습니다.
선조 15년, 1582년 정철 관찰사는 광한루를 크게 고쳐 짓고 신선이 사는 봉래, 방장, 영주의 삼신산을 은하수 연못 섬으로 만들었습니다.
견우와 직녀의 사랑이 있던 이곳은 춘향과 몽룡의 절절한 사랑으로 이어져 이제 남원은 '사랑의 도시'의 고장이 되었습니다.
청허부의 현액(懸額)은 우리나라 서예가 중 가장 뛰어난 '일중 김충현'의 글씨입니다.
솟을 대문으로 3문 형식에 맞배지붕으로 지어졌습니다.
달나라 옥경을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넓게 펼쳐진 광한루원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이제 이곳 광한청허부로 들어와 남원문화재 야행의 풍류를 즐겨보세요.